국제신문

조봉권의 문화 동행 <7> 장애인단체와 함께 한 정익진 시인의 7개월

2021-02-16 발행 |  본지 15면

– 시창작강사로 활동하는 중견시인
– 부산장애인총연합회 위촉으로
– 지난해 문예창작 아카데미 진행

– 장애인 외 가족·활동가도 참여
– 영화 수업 듣고 직접 작시까지
– 수강생 80% 종강 때까지 완주
– 17명 시로 ‘따뜻한…’ 작품집 내

– 중증장애 남편 보살피던 수강생
– “학창시절 돌아간 듯 설렘 느껴”

“절대로 어마어마하지 않은 척, 사실은 항상 압도적인 무언가를 선사하는 미국의 ‘영화 시인’ 아니면 ‘시인 영화감독’ 짐 자무쉬가 이번에 또 다른 걸작 ‘패터슨’을 만들어내면서 우리, 특히 예술가연하는 인간들에게, 혹은 지식인인 척하는 속물들에게 이것만큼은 제대로 알라며 명징하게 가르쳐 주는 것이 하나 있다. 바로 우리 일상에서 예술은 어떻게 존재해야 하는가이다. 혹은 우리 일상 속에 얼마나 많은 위대한 예술이 숨어 있는가이다.”

이 글은 정익진 시인이 ‘강의 첫날’인 지난해 6월 19일 수강생에게 제공한 강의자료집에 담겨 있다.

여기서 말한 ‘강의’란 부산문화재단이 시행한 ‘2020년 예술인 파견지원사업’에 ㈔부산장애인총연합회(부산장총·회장 조창용)가 응모해 선정되면서 마련한 ‘문예창작 아카데미’다.

부산장총은 아카데미의 강사로 시단의 중견이자 영화광이며 다양한 문학 현장에서 시 창작 강의를 성실히 펼쳐온 정익진 시인을 위촉했다. 말하자면, 이렇게 문화 동행을 위한 1단계 준비가 갖춰졌다.

㈔부산장애인총연합회 전현숙 사무처장과 수강생 조선자 씨, 강사 정익진 시인(왼쪽부터)이 지난 10일 부산 중구 사십계단으로 나들이 나와 지난해 6월부터 7개월간 이어진 문예창작 아카데미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김종진 기자 kjj1761@kookje.co.kr

■철통 방역 속 시 강좌

정 시인이 첫날 강의에서 짐 자무쉬 감독의 영화 ‘패터슨’(시를 쓰는 버스운전사, 그러니까 평범한 우리 이웃이 예술을 즐기는 이야기다)을 들고 와 ‘우리 일상 속 예술’에 집중하겠다고 선언하면서 ‘시를 통한 문화 동행’ 준비는 2단계로 격상됐다. 이 강좌의 수강생이자 진행 실무를 도맡은 부산장총 전현숙 사무처장 이야기부터 들어보자. “수강생은 부산장총에 속한 장애인과 가족·활동지원인, 부산장총 건물에 입주한 19개 장애인 관련 단체 실무자…모두 평범한 시민이었어요.”

지난해 6월 19일 시작해 12월 24일까지 7개월 동안 28강이 이뤄졌다. 듣는 사람도 완주하기 쉽지 않아 중도 작파하는 경우가 많고, 하는 사람도 내공 없으면 끌고 가기 어렵다는 바로 그 ‘장기 강의’다. 그런데 결과가 꽤 좋았다. “출석률이 꾸준히 높아 놀랐죠. 사람들 가슴 속에 숨은 문화 욕구가 참 컸구나 싶었습니다.”

전 사무처장은 “부산장총 건물(부산 동구 초량동)에 있는 아주 큰 방을 배정하고, 2인용 책상에 한 사람만 앉게 하고, 거리를 띄우고, 마스크 쓰고, 다른 방역 조처도 이행해야 했다”고 떠올렸다.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수강생도 챙겨야 했다.

■일상 속 예술, 삶 속의 시

정익진 시인. 김종진 기자 kjj1761@kookje.co.kr

강좌란 게, 일단 시작하면 끝까지 알아서 굴러간다고 여기기 쉽다. 안 그렇다. 강사와 수강생 사이 호흡이 안 맞으면 중도탈락률이 올라간다. 장기 강좌는 더 그렇다. 여기서는 강사의 준비와 마음가짐이 관건이다. 전 사무처장은 “최초 수강생의 80%가 종강 시점까지 남았다”고 했다. 높은 비율이다. 정익진 시인에게 그 비결을 물을 차례다. “매번 세 시간짜리 강의를 했죠. 처음부터 대뜸 ‘다음 시간에 시 한 편씩 써오세요’ 하면 다들 부담이 클 것 같았습니다. 그렇다고 제 육성만으로 끌고 가면, 재미도 효과도 적을 게 분명했고요.”

수강생은 장애인과 그 가족·활동지원인, 장애인단체 관계자들 그리고 평범한 시민이었다. 사느라 고단했을 이들에게 정 시인은 삶이 먼저이고, 시는 나중이니 시 앞에서 너무 긴장하거나 주눅 들지 말라고 속삭였다. “우리 일상 속에, 삶 속에 시는 스며 있죠. 그렇게 스며 있고 숨어 있는 시 한 구절을 발견하자고 했습니다.” 첫 두 달은 ‘워밍업’을 했다. 영화 미술 가요 팝송 K팝처럼 일상에서 만나는 문화를 시 강의에 끌어들였다.

■고마워요 ‘패터슨’ ‘동주’

㈔부산장애인총연합회가 펴낸 문예창작 아카데미 작품집 ‘따뜻한 눈빛으로’.

수강생 조선자 씨는 “정 시인이 강의 때마다 소개하고 해설한 영화를 접하면서 깊은 여운이 마음에 남는 걸 느꼈다”고 말했다. ‘패터슨’ ‘동주’ ’잠수종과 나비’ ‘오베라는 남자’ ‘스틸 라이프’ ‘지니어스’ ‘아마데우스’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 ‘그래비티’…. 정 시인은 예술과 예술가를 담은 영화, 장애를 이겨낸 영화, 고단한 일상 속의 공감과 감동을 담은 영화를 골랐다. 이렇게 수강생의 긴장을 풀고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운영하는 ‘문학집배원’ 서비스를 활용해 시의 세계로 천천히 한 걸음씩 걸어 들어가게 도왔다.

시기가 무르익자, 정 시인은 수강생에게 “이제 시를 써 오시면 좋겠다. 바쁘면 안 써도 되고 형편이 되는 분은 시도해보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사람들은 시를 써 왔고, 정 시인은 그 시를 강의자료집에 싣기도 하고 함께 손질하기도 했다.

영화 ‘패터슨’에서 패터슨(버스 운전을 하면서 시 쓰기를 즐기는, 이 영화의 주인공)이 “조용히 일상을 응시하면서 삶 속에서 예술적인 무언가를 성취하는”(정 시인의 강의자료집) 과정은 그렇게 7개월 동안 이어졌다.

■시를 쓰기 시작하다

수강생의 시가 점점 모였다. 시를 어렵게만 생각하던 평범한 시민이 어느새 ‘패터슨’처럼 시를 쓰기 시작한 셈이다. 그즈음 중증장애가 있는 남편을 보살피며 병원 물리치료실을 자주 드나들면서도 이 강좌를 꾸준히 들은 수강생이 전 사무처장에게 문자를 보내왔다. “참 죄송합니다. 남편을 병원에 혼자 물리치료 받게 하여 두고 와서 어쩔 수 없이 시간 지키지 못하였습니다. 참 재미나고 다시금 학창 시절로 돌아가고 있는 새로운 설렘으로…오늘 마치는 시간까지 함께하지 못한 점 다시 한번 죄송합니다.”

■문화 동행의 힘 느끼다

상상해본다. 바삐 돌아가는 일상 속에 짬을 내 시 강의를 듣고 학창 시절로 돌아가 설렘을 느끼는 사람의 표정을. 예술은 힘이 세다. 수강생의 시는 지난해 12월 ‘문예창작 아카데미 작품집-따뜻한 눈빛으로’라는 제목의 비매품 시집으로 출간했다. 17명이 시를 실었다. 작품 배열 순서는 수강생 이름 가나다순이다.

그래서 시집 표지를 넘기자마자 처음으로 만나는 시는 권인경 수강생의 작품이다. 아래와 같다.

“다양한 시간들이 드러누워

버거운 무게감에 아픔과 고통을 견뎌내고 있다

경쾌한 음률 난타의 향연이 벌어지는 동안

숨소리조차 내지 못하고

속으로 삭여

너의 등에 새겨진 무수한 상처를 스스로 이겨내야 한다

가끔 살이 베이고 찔리는 동안 여러 종류의 냄새를 보고

타인의 식탐과 즐거움을 위해서

나를 내던져야 하는 최대한의 배려이다

때로는 버겁기도 하고 가벼울 수도 있지만

한마디 불평, 불만을 하지 않고 아직도 묵언수행 중인

너에게 나는 찬사를 보낸다”

이 시 제목은 ‘도마’이다. 소박하고 진실한 느낌이다. 지면 제한으로 다른 수강생의 작품을 인용하지 못해 아쉽다. 그래도 이 말은 하고 싶다. 평범한 우리 삶 속에 예술은 스며 있다. 그것을 발견하고 가꾸는 문화 동행은 계속되어야 한다. 거기서 21세기 예술의 활로가 비로소 열릴 것이다. 선임기자 bgjoe@kookje.co.kr

[원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