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콘텐츠 바로가기
bawsc
  • 센터소개
    • 센터소개
    • 연혁
    • 찾아오시는길
    • 조직도
  • 사업안내
    • 예술인 파견지원
    • 빈집활용
    • 부산문화예술계 성희롱·성폭력 예방센터
    • 부산예술인 아카이빙 사업
    • 한국예술인복지재단
  • 예술인 컨설팅
  • 알림소식
    • 공지사항
    • 사업공고
    • 언론보도
    • 행사
    • 자료실
  • 예술활동증명
검색창 열기

close
  • Home
  • >
  • 알림소식
  • >
  • 사업공고
사업공고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22 문화예술교육 연구 공모 – 아르떼 논문 공모전 안내

종료 2022.05.30 ~ 2022.10.21
논문주제 : 문화예술교육 관련 자유 주제
공모대상 및 제출서류
구분
학생 부문
일반 부문
지원대상
 - 국내외 대학(원)(석‧박사 과정) 재학생    
   (휴학, 수료생 포함) 

 - 개인 또는 공동연구(2명 이내의 팀)로 참가,   
   전공 불문  ※단체/기관 형태 지원 불가
 - 석사학위 및 박사학위 소지자 또는 
   연구기관 연구원 
제출서류
[공통]  ① 공모 신청서 (공모신청서 양식 다운, 총3종)
        ※ 공모 신청서 내 관련 동의서 포함 제출

        ② 연구 논문 (A4 25매 내외 / 요약, 본문, 참고문헌 포함)
        ※ 논문 작성양식 참고 (연구 논문 작성 규정 준수)
 - 재학증명서 또는 휴학증명서
 - 학위증명서 또는 재직증명서
선정 규모
   - 학생 / 일반 부문으로 구분하여 각 3편 선정 및 포상 (총 6편)

구분
시상작
학생
일반
대상
각 1편
상금 250만원
상금 250만원
최우수상
각 1편
상금 150만원
상금 150만원
우수상
각 1편
상금 100만원
상금 100만원
   - 포상 규모 (총 1,000만원)


      
      
      
      ※ 논문 공모 지원 규모 및 심사․포상 기준에 부합되지 않을 경우 포상여부/규모 변동 가능
지원 요건 및 유의 사항  ※ 필수 사항
ㅇ 공모 접수 시작일 기준으로 증빙 서류 제출   
ㅇ 1인 당(또는 팀) 1편의 논문만 신청 가능 (중복 제출 불가) 
ㅇ 학위논문의 경우, 주요 내용을 제출 요건에 맞게 제출 가능
ㅇ 진흥원 또는 타 기관의 지원(수상 포함)을 통해 동일 연구를 수행했거나      참여하고 있는 경우 중복지원 불가, 중복과제 판명 시 선정에서 제외 
ㅇ 저작권법 위반 등 연구윤리에 위배, 그에 따른 분쟁 소지가 있는 경우 선정     에서 제외
ㅇ 연구 논문은 국문(hwp)으로 A4 25매 이내 작성 ‧ 제출  ※ 논문 작성양식 참고
ㅇ 제출된 논문 및 서류는 반환되지 않음
ㅇ 심사 기준
   - 제출된 논문 검토를 바탕으로 연구 이해도 및 기획의 적합성, 연구 주제 및 내용의 적절성, 연구 결과의 활용 등 대해 심사 후 선정 ‧ 포상 

구분
세부 심사내용
연구 이해도 및 기획의 적합성
(35)
- 연구하고자 하는 주제의 배경, 특성을 명확히 이해하고 있는가?
- 연구의 목적 및 구성이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가?
연구 주제 및 
내용의 적절성
(35)
- 연구하고자 하는 내용이 명확하고 정확하게 제시되었는가?
- 연구 주제에 맞추어 연구 방법이 적절히 추진되었는가?
- 연구 주제에 맞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는가?
연구 결과의 활용
(30)
- 연구 결과가 추후 문화예술교육의 학술적 또는 정책 및 현장에의 기여도가 높은가?
   - 심사 기준 미충족 시, 포상 여부/규모 변동 가능

PREV [한국문화예술회관연합회] 2022년도 「문예회관 아카데미」 무대예술인/하우스매니저 과정 신청 안내

목록

NEXT [예술경영지원센터]<2022 예술분야 투자상담회 - 투자 및 자금 조달 이해> 참가자 모집 안내

TOP 카카오 채널
  • 센터소개
  • 사업안내
  • 예술인 컨설팅
  • 알림소식
  • 예술활동증명

bawsc

ADRESS(48543)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로 84-1 (감만동) 부산문화재단 TEL051-744-7707 FAX051-744-7708~9

COPYRIGHT BY 2020 BUSAN CULTURAL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